<제과이론 - 제과에 사용하는 기계 및 도구>
1. 과자의 정의
- 과자란? 곡식가루에 여러 가지 감미료를 섞어 만든 것, 주식 이외에 먹는 기호식품.
- 화학적 팽차과 물리적 팽창에 의존. 이스트 사용 X. 주 사용 재료는 밀가루, 유지, 계란, 설탕 (밀가루는 '박력분' 사용)
※ 빵과의 차이점? 사용하는 밀가루, 반죽의 팽창 방법, 반죽의 물성, 설탕과 계란 사용 함량과 기능이 다름.
[빵과 과자 분류기준]
분류기준 | 과자 | 빵 |
팽창형태 | 화학적, 물리적 팽창 | 생물학적 팽창 |
설탕 함량, 기능 | 많음, 윤활 작용 | 적음, 이스트의 먹이 |
밀가루의 종류 | 박력분 | 강력분 |
반죽상태 | 글루텐 생성을 가능한 억제 | 글루텐의 생성, 발전 |
2. 제과 기기
1) 믹서 : 일반적으로 수직형 (버티컬믹서) 믹서를 주로 사용. 수평형 믹서, 스파이럴믹서 등이 있음.
믹서는 본체, 볼, 반죽날개(훅, 휘퍼, 비터)로 구성.
* 휘퍼 : 공기를 넣어 부피를 형성. / * 비터 : 유연한 반죽을 만들 때 사용.
· 수직형(버티컬믹서) 믹서 - 소규모 제과점에서 사용 (실기시험 때 사용)
· 스파이럴 믹서 (나선형 믹서) - S형 훅이 고정되어 있는 제빵 전용 믹서. 된반죽, 나선형 훅 내장.
· 수평 믹서 - 많은 양의 빵 반죽을 할 때 사용. 날개/탱크.
· 에어 믹서(자동 제과기) - 제과 전용 믹서로 공기를 넣어 믹싱 하여 일정한 기포를 형성.
2) 자동 제과기 : 모든 재료를 한꺼번에 넣고 믹싱하는 11 단계법의 기계. ‘에어믹서’라고도 함.
3) 파이롤러 : 반죽의 두께를 조절하면서 반죽을 밀어 펴는 기계. 파이나 페스츄리 제조 시 사용. (냉장고 옆에 위치하는 것이 좋음)
4) 오븐 : 최종 제품을 200℃ 전후로 굽기를 하며, '오븐 내 매입 철판 수'로 생산 능력을 계산함.
· 데크오븐 : 소규모 제과점에서 주로 사용, 반죽을 넣는 입구와 제품을 꺼내는 출구가 같음.
· 컨벡션오븐 (대류식오븐) : 히터주위에 팬을 장착하여 바람으로 내부에 열을 순환시키는 방식의 오븐. 트레이가 고정되어 있음.
· 터널오븐 : 컨베이어는 수평으로 회전하고 터널과 같은 오븐구조를 통과하면서 제품이 구워지는 오븐. 단일 품목을 대량 생산하는 공장에서 많이 사용되며, 반죽을 넣는 입구와 제품을 꺼내는 출구가 서로 다름.
· 릴오븐 : 상하 회전 낙차 타입의 오븐. 트레이를 물레방아처럼 회전시키면서 굽는 방식의 오븐. 직접가열 방식으로 제품이 마르지 않으면서 회전을 시킴으로써 열 분포가 균일하게 되어 제품의 오븐스프링이 매우 좋음.
5) 데포지터 : 짤주머니처럼 짜주는 기계.
3. 제과에 사용하는 도구
1) 작업테이블 - 주방의 중앙부에 위치하여야 여러 방향으로 동선이 짧아져 작업이 편함.
2) 전자저울 - 용기를 올려놓고 영점을 맞추므로 정확하고 신속하게 무게를 측정할 수 있음.
3) 온도계 - 반죽의 온도를 측정.
4) 스쿱 - 재료계량에서 가루재료를 퍼낼 때 사용.
5) 팬 - 반죽을 담아 굽기를 할 때 사용. 팬에 넣는 작업을 팬닝 이라고 함.
6) 붓 - 달걀물을 바르거나 덧가루를 털어낼 때 사용. 이형제를 바를 때도 사용.
7) 스패츌라 - 케이크를 만들 때 윗면과 옆면을 아이싱 하거나 반죽을 담을 때 사용.
8) 회전판 - 케이크류를 올려놓고 아이싱 할 때 사용.
9) 디핑포크 - 초콜릿을 만들 때 사용.
10) 짤주머니 - 반죽, 크림을 짤 때 사용.
11) 모양 깍지 - 여러가지 모양을 만드는 도구로 케이크나 쿠키를 만들 때 사용.
<제과이론 - 과자의 분류>
1. 팽창 형태에 따른 분류
1) 화학적 팽창 : 베이킹파우더와 베이킹소다와 같은 화학팽창제에 의해 의존해 부풀림.
- 종류 : 반죽형케이크류 (파운드, 레이어), 반죽형 쿠키류, 케이크도넛과 핀류, 와플류 등
2) 물리적 팽창 : 반죽시 포집된 “공기”에 의존하는 것. (계란의 공기포집성 이용) 또는“수증기”를 통해 팽창하는 것.
(1) 공기팽창 : 거품형케이크(스펀지류), 시퐁케이크, 엔젤푸드케이크, 머랭을 이용한 쿠키류와 케이크류
(2) 수증기압 팽창(유지팽창) : 페이스트리, 파이껍질, 쿠키, 비스킷
3) 발효 팽창 (이스트 팽창) : 이스트에 의존하여 CO2 발생시켜 팽창하는 것
- 종류 : 시바랭, 커피케이크류 등
4) 유지에 의한 것 : 층을 형성한 유지가 열을 받아 녹아 유지 속에 있는 수분이 수증기로 변하면서 반죽을 밀어 올려 팽창.
롤인마가린(파이용버터)을 넣어 얇은 유지층을 형성. 증기압에 의해 부풀도록(팽창)하는 방법.
- 종류 : 페스츄리, 퍼프, 데니쉬 등
5) 무팽창 : 반죽에 팽창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. 수증기압의 영향을 받아 조금 부풀림
- 종류 : 아메리칸파이, 사과파이, 타르트, 모양쿠키 등 (*파이-무팽창. 페스츄리-유지에 의한 팽창)
6) 복합형 팽창 : 팽창방법이 2가지 이상 병용된 것. ex) 화학적팽창+물리적팽창
- 종류 : 과일케이크, 쉬폰케이크(쉬폰케이크는 노른자를 믹싱 하지 않으므로 화학적+물리적 팽창)
2. 가공 형태 및 제품별 분류
1) 양과자 : 서양식 케이크류로 무스케이크, 버터케이크, 오페라 등 구움 과자류..
2) 생과자 : 만쥬, 양갱 등 주로 수분 함량이 높은 일본식 과자류.
3) 페이스트리 : 반죽과 유지를 이용하여 수많은 결을 형성하고 수증기로 부풀리는 바삭한 제품.
4) 데코레이션케이크 : 맛과 시각적인 부분을 표현한 케이크.
5) 공예과자 : 전시용이나 화려한 멋을 살려 미각적인 부분을 표현하며 케이크나 과자류로 먹을 수 없는 재료도 일부 사용함.
6) 냉과자 : 무스류, 젤리, 바바루아, 푸딩류
7) 건과자 : 쿠키, 비스킷류
8) 찜과자 : 만쥬, 푸딩, 치즈케이크류
9) 초콜릿과자 : 초콜릿을 이용한 제품으로 봉봉이나 생초콜릿을 말함
10) 캔디 : 캔디류, 젤리류
3. 수분함량의 분류
1) 생과자 : 수분함량이 “30%”이상인 과자류
2) 건과자 :수분함량이 “5%”이하인 과자류
4. 지역에 따른 분류
1) 한과자 : 우리나라 병과류
2) 양과자 : 냉과와 구움 과자류의 총칭으로 유럽식 과자류
3) 화과자 : 생과자와 건과자로 크게 분류되며 일본식 과자류 4) 중화과자 : 중국과자류
5. 반죽의 특성에 따른 분류
1) 반죽형 : 밀가루, 설탕, 계란, 소금, 고체유지(=버터,마가린 같은)가 필수재료.
· 밀가루 > 계란 (저율배합) / 비교적 많은 양의 유지를 사용 (화학적 팽창제에 의해 부피가 형성.)
→ 레이어케이크류, 파운드케이크, 머핀 등
2) 거품형 : 밀가루, 설탕, 계란, 소금이 필수재료.
· 밀가루 < 계란 (고율배합) / 거품형 중 저율배합인 경우 화학적 팽창제를 사용 / 계란단백질의 포집성과 변성을 이용
→ 스펀지케이크, 엔젤푸드케이크, 롤케이크, 카스테라 등
3) 시퐁형 : 노른자는 거품을 내지 않는 것이 특징. 시퐁의 이형제는 물.
<제과이론 - 제과제법 분류>
1. 반죽제법 분류
- 균일한 반죽으로 만드는 작업. 공기를 포집시켜 기공과 조직의 다양한 차이를 보이며, 재료에 따라 제법이 달라짐.
* 반죽형 반죽 (유지가 먼저이자 주) : 크림법, 블랜딩법, 설탕/물법, 일단계법
* 거품형 반죽 (계란이 먼저이자 주) : 공립법, 별립법, 머랭법, 단단계법, 시퐁법, 복합법
1) 반죽형 반죽
※ 특징? 밀가루, 설탕, 계란, 소금, 고체유지(=버터,마가린 등)가 필수재료. 유지를 많은 양 사용하고 화학팽창제(베이킹파우더)를 이용해 부풀린 반죽으로 완제품 질감이 부드러움. 거품형 반죽에 비해 계란 사용량이 적어 반죽의 비중이 높고 완제품의 식감이 무거움.
(1) 반죽형 반죽 - 크림법 ex) 파운드케이크, 마블파운드케이크
- 유지 → 설탕 → 계란 → 밀가루.
- 유지에 설탕을 넣고 믹싱 하여 계란을 투입하는 방식.
- "큰 부피"를 얻고자 할 때 사용하는 반죽형 케이크의 기본형 믹싱방법.
- 비교적 스크래핑을 많이 해야 하며,, 오랜 시간 크림화로 시간이 증가.
* 스크래핑이란? 믹서 볼의 옆, 바닥면을 긁어주는 동작.
* 크림화란? 유지를 부드럽게 풀어주면서 유지색이 변하고 설탕 투입 시 유지의 수분과 많나 설탕이 녹으면서 볼륨이 생겨나는 것.
- 제조방법 -
① 유지를 부드럽게 풀면서 공기 혼입
② 설탕을 나누어 투입 후 공기 혼입
③ 계란을 나누어 투입 후 분리되지 않도록 함
④ 체친가루를 혼합
* 체친가루 : 박력분, 베이킹파우더(화학적팽창제), 바닐라향 등 기타 가루
(* 차가운 유지, 차가운 계란을 사용하면 X (분리 우려됨))
(2) 반죽형 반죽 - 블랜딩법 ex) 레이어케이크, 데블스푸드케이크
- 유지 → 밀가루 → (설탕 등) 건조재료 → 계란 → 물 → 계란 → 물.
- 유지에 가루 넣고 피복하는 방식.(포슬포슬)
- 제품의 부드러움(유연감)을 얻고자 할 때 사용하는 방법.
- 밀가루와 유지가 먼저 결합해 글루텐 생성 X.
- 21℃ 정도의 품온을 갖는 유지를 사용하여 배합. 쉽게 부서질 수 있고 외형상 모양 유지가 어려울 수 있음.
- 제조방법 -
① '차가운' 유지와 밀가루를 잘게 쪼개줌
② 설탕 같은 건조재료를 투입
③ 액체류(물, 우유, 계란 같은)를 넣고 하나로 뭉침
(+ 또는 액체류에 설탕+소금을 넣어 녹여서 사용하기도 함)
(3) 반죽형 반죽 - 설탕/물법(=액당법)
- 설탕과 물을 끓여 완전히 용해 → 건조재료 → 계란.
- 설탕2 : 물1 의 비율로 액당을 제조하여 사용하는 방법.(대량생산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방법)
- '액당법'이라고도액당법' 하며 설탕을 시럽화 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입자가 남지 않고 당이 골고루 퍼지기 때문에 균일한 색상을 띠며,, 공기 혼입이 용이하여 균일한 기공과 조직의 내상을 얻을 수 있음.
- 제조방법 -
① 유지를 부드럽게 풀면서 공기 혼입
② 파이프를 통해 액당 시럽 투입
③ 고형분인 밀가루 투입
④ 계란 투입
※ 크림법과 비슷하나 설탕이라는 가루가 아닌 액당 시럽이 들어가기에 볼륨감이 떨어지나 균일한 제품 생산이 가능함.
(4) 반죽형 반죽 - 1단계법 (일단계법) ex) 마들렌, 브라우니, 프리믹스 제품
- 모든 재료를 일시에 넣고 믹싱 저속→고속→중속→저속.
- 모든 재료를 혼합 또는 믹싱. '단단계법'이라고도 함.
- 모든 재료를 순차적으로 '한번에' 믹싱 가능하여 노동력과 시간이 절약되며 기계 성능의 영향을 받지 않음.
- 공기가 혼입 되지 않아 믹싱 시간이 짧기 때문의 원료 냄새가 날 수 있어 "휴지(숙성)"를 거쳐야 함
- 제조방법 -
① 계란 + 건조재료(밀가루, 설탕류) 혼합
② 액체유지 혼합 (고체유지를 넣기도 하며, ②번 과정은 넣을 수도 안 넣을수도 있음.)
③ 휴지(숙성) 후 팬닝하여 굽는다
2) 거품형 반죽
※ 특징? 밀가루, 설탕, 계란, 소금이 주재료.
계란단백질의 성질인 "신장성"을 이용하여 기포를 "포집"할 수 있고, 계란단백질의 "열응고성"과 "유화성"을 이용함.
* 신장성이란? 계란이 기포를 많이 포집해 아이보리 색으로 변하며 볼륨감이 생기는 것.
* 포집이란? 공기 접촉 부위를 안정화시키는 성질.
※ 기포성과 포집성은 반죽 온도와 상관관계를 가짐.
· 반죽온도 20℃ → 포집성 좋음 / · 반죽온도 50℃ → 기포성 좋음 / · 반죽온도 30℃ → 기포성과 포집성이 모두 좋은 온도
- 기포성을 좋게 하는 재료 : 산성재료, 소금
- 포집성을 좋게하는 재료 : 산성재료, 설탕
* 유화성? 노른자의 '레시틴' 성분이 물과 기름을 잘 섞이게 해 줌(천연 유화제)
※ 물리적 팽창 중 "공기팽창"에 해당. (기계믹싱 시 공기 혼입되므로) 반죽형보다 큰 부피를 얻을 수 있음
(1) 거품형 반죽 - 공립법
- 전란을 사용하여 거품(기포)을 내는 방법.
- 찬 믹싱과 더운 믹싱 두 가지 방법이 있으며, 시간과 노동력이 절감됨.
· 설탕량이 많을 때 → 더운 믹싱법(중탕) / · 설탕량이 적을 때→ 찬 믹싱법
※ 더운 믹싱 (중탕) : '가온법'이라고도 하며 중탕으로 37~43℃까지 데운 뒤 믹싱하는 방법.
- 제조방법 -
① 전란과 설탕의 비율이 고율배합인 경우로 중탕을 43℃로 하여 설탕을 녹여줌
② 고속으로 기계로 거품을 내줌. 설탕이 용해되면서 기포성 및 점성이 강해져 공기 포집이 잘 이루어짐 (껍질색이 개선됨)
③ 체친가루 혼합 후 60℃ 용해버터를 넣고 비중을 맞춤
※ 찬 믹싱 : 일반적인 믹싱 방법. 반죽온도 22~24℃.
- 제조방법 -
① 중탕을 하지 않고 전란과 설탕을 고속으로 기계로 거품을 내줌
② 체친가루 혼합 후 60℃ 용해버터를 넣고 비중을 맞춤
(2) 거품형 반죽 - 별립법
- 노른자와 흰자를 분리하여 사용하는 방법으로 공립법 보다 부드러움. (스펀지법의 변형된 방법)
- '머랭'을 이용한 반죽으로 탄력을 가진 제품을 얻을 수 있고 설비, 시간, 노동력이 증가함.
- 제조방법 -
① 노른자 + 설탕A + 소금을 넣고 거품을 내줌
② 물을 넣고 설탕을 충분히 녹여줌
③ 흰자 + 설탕B로 머랭을 만듦
④ 노른자 반죽에 머랭 1/3을 투입
⑤ 체친가루 → 용해버터 → 남은머랭 순으로 혼합 후 비중을 맞춤
(3) 거품형 반죽 - 머랭법 (=머랭반죽. 머랭)
- 흰자에 설탕만 첨가하여 거품을 낸 반죽.
- 설탕 : 흰자 = 2 : 1 / 흰자의 글로불린 단백질에 의해 기포 생성
· 설탕량이 많을 때 → 흰자를 따뜻하게 / · 설탕량이 적을 때→ 흰자를 차갑게
* 오래된 흰자는 신선한 흰자에 비해 안정성은 떨어지나 거품을 내기는 쉬움.
종류로는 프랑스(프랜치)머랭, 이탈리안머랭, 스위스머랭, 온제머랭, 냉제머랭 등이 있음
머랭의 묽기 단계에 따라 "젖은피크, 중간피크, 건조피크" 건조피크"로 구분
- 제조방법 -
① 흰자를 거품을 내며 설탕을 2~3회 나누어가며 90% 상태의 머랭을 제조
② 제품에 맞는 건조재료를 체 쳐 가볍게 섞음
* 제과 반죽 제조 시 프랑스(프랜치)머랭을 사용하여 구조 형성.
※ 머랭 종류
- 프랑스(프랜치)머랭 : 실온상태 흰자 거품 내다가 설탕을 조금씩 넣으며 거품 제조. (=냉제머랭)
- 이탈리안머랭 : 흰자와 설탕 (흰자의 20%)을 넣고 50% 정도 거품 만든 후 뜨겁게 조린 시럽을 부어 만든 머랭.
흰자가 살균되기 때문에 구울 필요 없으며 무스나 냉과를 만들 때 사용
(*시럽은 설탕100, 물30 넣고 114~118℃에서 끓인 것.)
- 스위스머랭 : 흰자(1/3)와 설탕(2/3)을 섞어 43℃로 데우고 거품 내며 레몬즙 첨가,
나머지 흰자(2/3)와 설탕을 섞어 거품 낸 냉제머랭과 섞어줌.
(흰자100, 설탕180 / 구웠을 때 광택이 남)
- 온제머랭 : 흰자와 설탕을 섞어 43℃로 데워 거품을 내다가 안정되면 분설탕 섞어줌.
(흰자100, 설탕200, 분설탕20 비율)
- 냉제머랭 : 실온상태 흰자 거품 내다가 설탕을 조금씩 넣으며 거품 제조.
(거품 안정을 위해 소금과 주석산 0.5%0.5% 넣기도 함)
※ 머랭 제조 시 주의사항
① 볼에 기름기가 없어야 함.
② 흰자에 노른자가 들어가선 안됨.
③ 흰자의 단백질을 단단히 해 기포의 기공을 치밀하게 만듦.
(4) 거품형 반죽 - 단단계법
- 전 재료를 한 번에 혼합하여 "거품"을 내는 방법.
- 계란의 기포성이 밀가루에 의해 떨어지므로 반드시 "유화제(=유화기포제(S.P라는 유화제))"를 사용. 기계성능이 좋아야 하며 간편함.
- 제조방법 -
① 액체재료를 제외한 나머지(계란, 설탕, 밀가루, 유화제 등)를 투입하여 거품을 냄
② 유지 + 액체재료 [용해버터 또는 액체유지(=식용유같은)]를 온도를 맞추어 혼합 후 비중을 맞춤
(5) 거품형 반죽 - 제노와즈법
- 스펀지케이크에 유지를 넣어 만듦.
3) 시퐁형 반죽 (=시퐁법) ex) 쉬폰케이크
- 노른자는 "반죽형" 반죽 / 흰자는 머랭 ("거품형" 반죽).
- 흰자는 설탕을 넣어 믹싱 하여 머랭을 만들고 노른자는 믹싱 하지 않고 혼합만 하여 흰자와 노른자를 혼합하는 방법.
- 반죽형의 부드러움과 거품형의 조직, 부피를 가지며, "화학적팽창제(=B.P =베이킹파우더)"를 사용하며
"액체유지 (=식용유)"를 넣어 팽창이 큼.
- 2가지의 팽창이 있는 "복합팽창"임. [화학적팽창(=B.P) + 물리적팽창(=기계믹싱)]
- 제조방법 -
① 노른자 + 설탕A + 소금 + 식용유 + 물을 순차적으로 섞어 1단계로 반죽
② 흰자 + 설탕B로 머랭 제조
③ 노른자 반죽에 머랭 1/3을 투입
④ 체친가루 혼합 후 나머지 머랭을 혼합
4) 복합 반죽 (=복합법) ex) 과일파운드케이크, 치즈케이크
- 반죽형 반죽-크림법과 거품형 반죽-머랭법을 혼합한 제법으로 2가지의 팽창이 있는 "복합팽창"임. [화학적팽창+물리적팽창]
- 제조방법 -
① 유지(=버터)를 부드럽게 풀면서 공기를 혼입
② 소금 + 설탕 + 액체(노른자) 순으로 넣고 부드러운 크림 상태로 만듦 (반죽형 반죽 - 크림법)
③ 흰자 + 설탕으로 머랭 제조 (거품형 반죽-머랭법)
④ ②번 크림 반죽에 머랭1/3을 혼합
⑤ 체친가루 (=밀가루)를 넣고 나머지 머랭을 혼합 후 팬닝
5) 페이스트 반죽 ex) 페이스트리류, 파이, 슈
- 빵 반죽보다 되직한 상태로 팽창의 매개체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음.
·유지의 힘 만으로 → 퍼프페이스트리, 쇼트페이스트리 (제과)
·수분이 팽창의 매개체 → 슈 페이스트리
·이스트 사용 → 데니쉬 페이스트리 (제빵)
(1) 페이스트 반죽 - 영국식 반죽법
① 반죽을 만들 때 밀가루, 물, 소금만 들어감
② 큰 부피의 제품을 만들고자 할 때 사용
③ 반죽을 직사각형으로 밀어 펴고 2/3 정도를 유지로 덮는 방법
(2) 페이스트 반죽 - 프랑스식 반죽법
① 반죽 만들 때 밀가루, 물, 소금 이외에 유지가 들어감
② 영국식에 비해 부피가 다소 떨어지지만 결이 균일하고 부드러움
③ 반죽을 정사각형으로 밀어 펴고 유지를 마름모꼴로 놓은 다음 네 모서리의 반죽을 접어 덮는 방법
(3) 페이스트 반죽 - 반죽형 (스코틀랜드식)
① 직사각형으로 밀어 편 반죽 위에 유지를 조금씩 떼어내어 바르는 방법
② 쉽게 작업할 수 있지만 덧가루가 많이 들어 완제품이 단단함
(4) 페이스트 반죽 - 속성법 (아메리칸식)
① 유지를 밀가루 위에 놀고 잘게 잘라 밀가루와 혼합 후 물을 투입하여 반죽하는 방법
② 층이 없고 바삭한 파이를 만들 때 사용함
'제과·제빵 기능사 필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제과기능사/제빵기능사 필기 - [제빵이론] 제품별 제빵법 및 제품 평가 (0) | 2023.10.06 |
---|---|
제과기능사/제빵기능사 필기 - [제빵이론] 제빵공정, 제빵재료의 기능 (0) | 2023.10.06 |
제과기능사/제빵기능사 필기 - [제빵이론] 제과제빵기계 및 작업환경 관리, 반죽제법 분류 (0) | 2023.10.06 |
제과기능사/제빵기능사 필기 - [제과이론] 제품별 제과법 및 제품 평가 (0) | 2023.10.05 |
제과기능사/제빵기능사 필기 - [제과이론] 제과공정, 제과제조의 기능 (0) | 2023.10.05 |